728x90
SMALL
최근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이 눈에 띄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과거 값싼 제품만을 추구했던 소비에서 벗어나, 이제는 정직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착한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경영 컨설턴트 제임스 챔피는 자신의 저서에서 이러한 변화를 단적으로 설명하며, 소비자들이 단순한 개인적 이익을 넘어 사회 전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소비를 지향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소비 트렌드의 변화와 그 영향
대한상공회의소가 2012년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무려 92%가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의 상품을 구매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이처럼 많은 소비자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경영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기업들도 이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대표 사례: 베자(Veja)
프랑스의 신발 제조업체 **베자(Veja)**는 착한 소비의 대표적 성공 사례로 꼽힙니다.
- 윤리적 제조 방식:
베자는 제품 제조 전 과정에서 천연 재료 사용을 원칙으로 합니다. 브라질산 유기농 목화와 아마존에서 채취한 고무 수액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생산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 공정한 대가 지급:
원재료 구매 시 농민들에게 시장 가격보다 높은 금액을 지불해,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베자는 브라질 현지에서 생산하며 공장 노동자들에게 선진국 수준의 임금을 지급함으로써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 효율적인 전략 – ‘zero zero strategy’:
베자는 광고 비용과 재고 비용을 최소화해, 그 비용을 노동자와 농민들에게 직접 환원합니다. 이 전략 덕분에 경쟁 제품들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할 수 있었으며, 환경 보호에 관심 있는 전 세계 셀러브리티들의 지지를 받으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 브랜드 철학 확산:
파리 10구에 위치한 친환경 문화공간 겸 쇼핑몰 ‘Centre Commercial’은 베자의 제품과 브랜드 철학을 소개하며, 소비자들에게 착한 소비의 가치를 전파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사례: 트리플래닛(Tree Planet)
국내에서도 착한 소비를 실천하는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트리플래닛은 숲을 가꾸는 게임을 통해 환경 보호에 앞장서는 혁신적인 시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게임과 환경의 만남:
트리플래닛의 게임은 단순한 가상 공간에서 나무를 키우는 재미를 넘어, 실제 나무 심기 활동으로 이어집니다. - 수익금의 사회 환원:
게임 수익금의 약 절반은 나무 심기에, 10~20%는 나무 관리에 사용되어 지금까지 48만 그루의 나무가 심어지고 9개국에 46개의 숲이 조성되었습니다. - 실시간 공유:
사용자들은 게임 내에서 자신들의 활동이 실제 숲 조성에 기여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소비자가 직접 변화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소비가 만드는 미래
이처럼 베자와 트리플래닛 같은 기업들은 착한 소비를 통해 단순한 이윤 추구를 넘어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소비자 여러분도 제품을 선택할 때, 가격뿐 아니라 그 제품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한 번쯤 고민해보시길 권합니다. 우리의 작은 소비가 모여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sDdwfsQ_weQ 🎵 같은 가사, 다른 느낌! 🎵
728x90
LIST
'세일즈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설적인 세일즈맨 조 지라드의 성공 비결 – 고객을 친구로 만드는 법 (7) | 2025.02.23 |
---|---|
성장 가능성이 높은 ‘핫스팟’을 찾아라! – 기회지도 활용법 (7) | 2025.02.23 |
기업 혁신 사례: 다농의 '건강' 전략과 CVS의 사회적 책임 (8) | 2025.02.22 |
제품 재구성으로 위기를 기회로: 피아트 500과 푸마 아카이브의 성공 스토리 (3) | 2025.02.22 |
B2B에서도 시장 세분화가 중요하다 – 글로벌 기업들의 성공 전략 (17) | 2025.02.20 |